"전세 기필코 안정" 문대통령 공언…정책 논란에도 "정부 의지 단호"
  • 2020.10.29
  • 리서치센터
  •  

유안타 데일리 섹터 코멘트 (2020.10.29)

● 반도체/전기전자 이재윤(02-3770-5727)
애플, 보호막 한 겹 더 입힌 폴더블 만드나
- 애플이 폴더블 화면에 금이나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위에 한 겹 더 보호막을 입히는 기술을 개발
- ‘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하이브리드 커버레이·윈도 구조'라는 제목의 특허를 최근 미국 특허청에 등록
- link: https://bit.ly/3e40lxa

애플 따라하는 삼성?…'갤럭시S21'에 이어폰·충전기 사라질까
- 삼성전자는 '갤럭시S21'부터 스마트폰 제품 패키지에서 무상 제공해왔던 충전기와 유선 이어폰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
- 삼성전자는 예년과 달리 내년 1월 초께 '갤럭시S21'을 공개해 1월 말~2월 초에 공식 출시할 것으로 전망
- link: https://bit.ly/34Cuukk


● 화학/정유 황규원(02-3770-5607)
(주간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동향)  Covid 확산으로 정제마진 회복 주춤
- 2019년 4분기 1.7$ → 2020년 3분기 0.1$ → 9월 0.3$ → 10월 3주 1.1$/배럴 (과거 평균 5.8$, 손익분기점 4.0$) → 10월 28일 1.48$/배럴

(중국 석화제품 가격 동향, 10월 28일)
- 상승폭 大: PA +7.04%, 클로로폼 +2.70%, PA66 +1.86% 하락폭 大: 2-EH △2.44%, 메탄올 △1.17%, PA6 △0.89%

(태양광 주간 가격)
- 폴리실리콘 평균가격 10.390$/kg (WoW -1.89%), 웨이퍼 평균가격 0.153$ (WoW -0.65%), 모듈 평균가격 0.172$/Watt (WoW -0.58%)

(미국 정유사 가동률)
- 직전주 (10월 2주) 72.9%, (10월 3주) 74.6%

(3분기 실적 발표)  S-Oil 컨센대비 부진, 대한유화 in-line
(대한유화) 3분기 영업이익 631억원(컨센 630억원, 전분기 720억원). 
- 2분기 대비 소폭 감익했는데, 2분기에 저가 원료 투입효과에 따른 일회성 이익 250억원이 소멸되었기 때문.
- 4분기 예상 영업이익 620억원 수준.  비수기에도 부타디엔 등 가격 강세로 견조한 실적 유지 될 것
(S-Oil) 3분기  영업손실 △93억원(전분기 △1,643억원, 컨센서스 1,581억원). 
- 2분기 대비 적자폭이 축소된 정도에 만족.  정유 적자 △500억원, 석화 적자 △350억원, 윤활유 900억원 흑자
- 4분기 예상영업이익 400억원 수준.  정제마진은 여전히 적자지만, 석화부문 실적 소폭 개선이 기대됨.  의미있는 정유부문 흑자전환은 2021년 2분기 정도 되어야….


● 철강/금속 이현수(02-3770-5718)
중국 본계, 냉연도금재 오퍼가격 정점 유지
- 중국 본계강철이 냉연강판 및 도금판재류 수출 오퍼가격을 동결
- 열연 오퍼가격은 2주 동안 5달러씩 총 10달러 인상을, 냉연 오퍼가격은 지난주 10달러를 올려 2주간 인상 폭은 같아
- 냉연의 경우 중국 현지 내수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열연과 달리 별도의 비공식 할인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
- https://bit.ly/2HExmEa


● 건설/건자재 김기룡(02-3770-3521)
"전세 기필코 안정" 문대통령 공언…정책 논란에도 "정부 의지 단호"
-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두고 장기간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"부동산 시장 안정, 실수요자 보호, 투기 억제에 대한 정부의 의지는 단호하다"며 관련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뜻을 강조
- 문 대통령은 '2020년도 예산안 시정연설'을 통해 "임대차 3법을 조기에 안착시키고, 질 좋은 중형 공공임대아파트를 공급해 전세 시장을 기필코 안정시키겠다" 고 말해
- 문 대통령은 이날 시정연설을 통해 전세시장 안정대책으로 '질 좋은 중형 공공임대아파트 공급'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만큼 정부도 관련한 대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여
- https://bit.ly/34y3ouC

홍남기 "9억 이하 재산세 인하…지분적립형 주택 도입"
-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8일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"부동산공시법에 근거한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이 곧 발표될 예정"이라고 말해, 세금 기준이 되는 공시가가 상승하더라도 중저가 아파트를 보유한 1주택자가 재산세가 늘지 않도록 세율 인하를 추진
- 홍남기 부총리는 '지분적립형 분양주택'에 대해 무주택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공급모델이 될 것이라고 언급. 지분은 최초 분양 시 20~25%, 4년마다 10~15% 추가, 20~30년 후 100% 취득하고자 한다고 설명
- 홍 부총리는 "지분적립형 주택을 신규 공급주택 중 공공보유부지, 공공정비사업 기부채납분 등 선호도가 높은 도심부지부터 점진 적용할 계획"이라며 "공급 일정을 감안시 2023년부터 분양이 가능하다"고 예상
- https://bit.ly/2TuOcI7

'재산세 완화' 당정 이견 지속…29일 발표 끝내 연기
- 부동산 공시지가 현실화에 따른 재산세 인하 방안을 논의해 온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수혜 대상을 둘러싼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는 가운데 29일로 예정됐던 정부 발표도 미뤄지게 돼
- 당정은 그간 공시지가 상승으로 중저가 1주택 보유자들의 세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정부의 공시지가 현실화 로드맵에 따른 보유세 급등 후속 대책으로 재산세 감면을 논의
- 정부는 공시가 6억원 이하 1주택자를 대상으로 재산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주장하는 반면, 민주당은 9억원 이하를 고수하며 수혜 대상을 놓고 당정 입장은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
- https://bit.ly/2J78JRa

지분적립형 주택, 당장 전세난 심각한데 2023년 나온다니…
- 시장 전문가들은 정부의 지분적립형 주택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현재 불안정한 주택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별다른 도움을 주진 못할 것이란 평가를 내려
- 지분적립형 주택의 면적, 입지 등을 두고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고 우려와 함께 2023년부터 분양하면 실제 입주시기는 2026~2027년이라 지금의 전세난 해소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와
- 면적이 소형이라면 최소 20년은 거주해야 하는 구조로 예비청약자들의 선호도가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며 중대형 면적 공급 시 초기 부담 확대로 ‘자산이 부족한 무주택자들의 초기부담을 완화해준다’는 지분적립형 주택의 취지와도 맞지 않아
- https://bit.ly/3e6wNyV

서울시, 주택연금 가입자 '빈집' 임대 늘린다
- 서울시는 한국주택금융공사(HF)·서울주택도시공사(SH)와 함께 주택연금 가입자의 빈집을 활용한 공적 임대주택 사업인 ‘세대이음 자산공유형 더드림주택’을 시작한다고 밝혀
- 이번 사업은 요양원 병원 입원 등으로 주택연금 가입자가 집을 비우면 SH공사가 이를 임차한 뒤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주변 시세의 80% 수준으로 다시 빌려주는 것
- 주택연금에 가입해 집을 담보로 맡기고 연금을 받는 서울 지역 가입자는 지난달 말 기준 2만2399명으로 집계
- https://bit.ly/2HyPsbb

디딤돌 대출금리 평균 0.2%P 추가 인하
- 국토교통부는 지난 달 10일 관계부처 합동 발표한 '추석 민생안정 대책'의 후속조치로 주택도시기금 디딤돌 대출(구입자금) 금리를 인하한다고 밝혀
- 국토부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및 시중금리 인하 추세, 코로나19로 무주택 서민 지원 필요성 등을 감안해 지난 5월과 8월에 이어 이번에도 디딤돌 대출금리를 추가로 낮추기로 해
- 이번 금리인하는 오는 30일 이후 신규로 실행되는 대출건부터 적용되며, 약 8만5000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
- https://bit.ly/3mHKqIj

2020년 3분기, LG하우시스 잠정실적 발표
- 매출액 7,709원(-2.2%, YoY), 영업이익 281억원(+13.0%, YoY) [시장 예상치(1M) : 매출액 : 7,474억원, 영업이익 : 230억원] 
- 사업부문별 영업손익 : 1) 건자재 : 316억원(3Q19) → 330억원(2Q20) → 348억원(3Q20P) / 2) 자동차소재/필름 : -67억원(3Q19) → -200억원(2Q20) → -63억원(3Q20P)
- 건자재 중심의 성장 지속 전망 : 건자재 프리미엄 제품 확대(PF단열재, 미국 이스톤) + 출점 증가를 통한 B2C 영향력 확대  

2020년 3분기, HDC현대산업개발 잠정실적 발표
- 매출액 8,125원(-6.8%, YoY), 영업이익 1,326억원(+41.4%, YoY), 세전손익 -1,133억원 [시장 예상치(1M) : 매출액 : 8,500억원 / 영업이익 : 910억원 / 세전손익 : -906억원] 
- 자체 사업지인 대전아이파크시티, 영통아이파크캐슬3단지 착공 등 자체 사업 호조와 대형 현장 실행률 개선 등으로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큰 폭으로 상회 
- 아시아나항공 계약금 2,010억원에 대한 영업외손실 반영으로 세전이익은 적자 기록
- https://bit.ly/35EHxkl

GS건설,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예비입찰자 선정
- GS건설은 공시를 통해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관련 재무적투자자를 포함한 컨소시엄과 예비입찰자로 선정되었으며 본 입찰을 위한 실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혀


● 통신서비스/지주회사 최남곤(02-3770-5604)
KT엔터프라이즈, 5년내 10조로…케이블TV 추가인수도 검토(뉴스1)
- KT 구현모 대표는 비통신 분야 매출 비중과 목표에 대해, KT 엔터프라이즈의의 출범과 함께 이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오는 2025년까지 10조원 규모로 키울 계획이며, 향후 통신매출과 5대5 정도의 비중이 될 전망이라고 밝힘
- 또한 케이블 TV 사업자 추가 인수 계획 관련해서는 KT와 합병 시너지가 있다면 추가 인수도 충분히 검토 가능하다고 밝힘
- 최근 네이버-CJ, SKT-카카오처럼 지분교환 방식의 외부와의 제휴 협력의 경우, 내년이 되면 인수합병 혹은 제휴 등 일부 가시적인 성과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
- 더불어 계열사의 분사나 상장 등을 계획하는 바는 없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, 상당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며 개선방향을 찾고 있고 자회사 분사 및 상장도 유력하게 검토하는 방안중 하나라고 답함
- link: https://bit.ly/34ynDrP

삼성생명, 전자 지분 '1년 내 매각' 리스크 점화(더벨)
-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이 보험사 보유주식 취득원가 계산의 근거인 보험업감독규정이 무효라는 법령해석을 11월 내에 법제처에 의뢰할 예정
- 법제처가 해당 조항이 무효라고 해석할 경우 삼성생명은 1년 안에 총자산의 3%를 초과하는 계열사 지분을 매각해야 하며, 이는 보험업법 개정안이 5년에서 7년까지 매각 기한을 유예해주는 것과 대비
- 삼성생명 입장에서는 보험업법 개정안보다 법제처의 법령해석이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관측
- link: https://bit.ly/35EOzFU


● 인터넷/게임 이창영(02-3770-5596)
라인플러스 조세불복 기각…"법인세 240억 내라"
- 라인플러스가 240억원에 달하는 법인세를 내게 됐다. 라인에 빌린 돈을 주식으로 전환하면서 발행가를 시가보다 높게 책정해 '빚 탕감 효과'를 봤다는 판단이다.
- 라인플러스는 라인의 100% 자회사로, 라인의 해외 영업·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.
- 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31/0000565160?cds=news_edit

카카오게임즈, 상장 후 첫 신작 '엘리온' 12월 10일 출시
- '엘리온'은 크래프톤이 개발한 PC 다중접속임무수행게임(MMORPG)으로, 2017년 당시 지스타에서 '에어(A:IR)'라는 이름으로 처음 공개됐다가 올해 초 이름을 바꿨다.
- 이용자 간 대규모 전투와 화려한 그래픽, 다양한 콘텐츠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.
- 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1/0011976615


● 미디어/엔터/레저 박성호(02-3770-5657)
[나스미디어 3Q20 리뷰]
- 연결 영업익 63억원(+25% YoY) 기록. 컨센서스(66억원) 소폭 하회
- 나스미디어 본사 호조 + 플레이디 약세 흐름 지속
- 본사 DA 성장률은 +12% YoY 로 양호. 대손상각비 8억원 발생이 특징적
- 자료링크 : https://bit.ly/3mJnc4z

‘빅히트XCJ’ 엔하이픈, 11월 30일 데뷔 확정(MK스포츠)
- 기사링크 : https://bit.ly/2TsIPtc

이수만 총괄 프로듀서, “걸그룹 에스파 통해 SMCU 실현할 것”(문화)
- 기사링크 : https://bit.ly/2J6coPa

크리니크, ‘갑질 논란’ 아이린 지웠다(스포츠경향)
- 기사링크 : https://bit.ly/3jysBta

지상파-IPTV 손잡는다…'2세대 맞춤형 방송광고' 연내 도입(아이뉴스24)
- 기사링크 : https://bit.ly/3jF9gGt

에이피알 '확장본능', 내년 해외서 2000억 번다(더벨)
- 에이피알은 IPO 과정에선 해외 3~4개국에 대한 추가 진출 계획도 공개할 예정
- 에이피알은 올 9월 25일 코스닥 본부에 상장예비심사청구를 했으며, 11월 말 정도 심사결과가 나오면 12월~내년 1월 수요예측을 진행할 계획
- 기사링크 : https://bit.ly/3ow6Ttn


● 화장품/음식료 박은정(02-3770-5597)
제주도 외국인 일일 입도 현황
- 2020년 9월 1일 ~ 30일 누적
: 3,315명(yoy -98%, mom -45%)
- 2020년 10월 1일 ~ 27일 누적
: 4,902명(yoy -97%, mom +88%)

중국 주요 항공사별 일일 여객 수송 현황
(동방항공 포함 총 15개 중국 항공사, 여객/도착 인원)
- 2020년 9월 1일 ~ 31일 누적
: 6,234명(yoy -98%, mom -14%)
- 2020년 10월 1일 ~ 28일 누적
: 4,481명(yoy -99%, mom -27%)

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
- L'Oreal: -2.89%
- Estee Lauder: -4.54%
- P&G: -3.30%
- Shiseido: -0.49%
- Shanghai Jahwa: +2.52%
- Proya: +10.00%
- LVMH:-3.99%
- Kering: -4.40%

(조선) '보복소비'에 소비심리 코로나 이전으로… 집값 전망도 다시 '쑥'
- link: https://bit.ly/35MlqZg

(DFN) 관세청, ‘면세품 역직구’ “관련 유통업계 피해 우려” 난색
- link: https://bit.ly/3mweNB5

(뉴스) LG생활건강 "또 웃고", 아모레는 "또 울었다"…3분기도 엇갈린 희비
- link: https://bit.ly/2HMhRKC

(한국면세점협회) 9월 면세구매액 YoY-33%, MoM+4%
- link: https://bit.ly/34AT1WF


● 티레이더 인포 링크 : www.myasset.com/tradarinfo
● 유안타 리서치 투자전략팀 채널링크 : https://t.me/yuantais

 




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,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.
첨부파일이 없습니다.
※ 본 내용은 투자판단의 참고 사항이며,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 있습니다.

공유하기

Top Home